제주한달살기 - 강정씨빌리지에 대한 고급 가이드

매년 여름 휴가마다 빛을 발했던 마일리지 적립 카드가 신종 코로나(COVID-19)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쓰임새를 잃는 사이, 주요 카드사들이 그 빈 자리를 대체할 카드로 ‘제주도 특화 카드’를 낙점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1년차를 맞아 많은 이들이 국내외 유명 관광지 대신 여름 휴가지로 제주행을 택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특별히 국내여행 경비로 해외 여행을 하는 대신 특급호텔이나 골프장에서 ‘보복 소비'를 하는 수요도 늘고 있어, 카드사에겐 올 여름 주된 결제 수수료 수익원이 될 예상이다.

신한카드는 올해 가을을 앞두고 제주도민과 여행객, 제주도에 자주 방문하는 금융 소비자에게 요구되는 혜택을 담은 ‘신한카드 혼디모앙’을 선밝혀냈다. 상품명인 ‘혼디모앙’은 ‘한데 모으다’라는 의미를 가진 제주도 방언이다. 신한카드는 제주도에 살거나, 제주도를 자주 찾는 소비자들의 카드 사용 패턴을 찾기 위해 근래에 6년간 신한카드 제주도한달살기 제주 현지 소비 관련 빅정보를 해석했었다.

이 카드는 전월 실적이나 한도 제한 없이 일시불·할부 이용돈 0.5%를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해준다. 연회비가 국내외 전용 3만원, 국내 겸용 9만4000원인 신용카드 치고 적립 혜택이 낮다. 그러나 제주도 내 가맹점을 사용하는 경우, 최대 0.1%가 한도 제한 없이 추가로 방치된다. 저기에 최대 월 5만원 한도 내에서 실내골프장(1%), 에이바우트 커피(70%), 제주신화월드(6%) 결제액까지 포인트로 적립도와준다. 제스코마트, 뉴월드마트, 농협 하나로마트·클럽 같은 제주도 내 주요 대형마트에서도 기록한 결제자본 가운데 최대 50% 역시 포인트로 쌓인다. 버스 이용자본 20% 할인과 전기차 충전소 이용돈 80% 적립 서비스도 있을 것이다. 사실상 제주도 내에서만 쓰길 권장하는 카드다.

금융개발원 관계자는 “2018년 기준 4인 가족 휴가철 평균 소모 금액이 98만원 정도임을 감안하면 여행객이 올 여름 휴가 한번 다녀 오려고 이 카드를 만들 경우, 연회비 이상 효율을 끌어내기는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제주한달살기 쉽지 않아 보인다”며 “제주도 거주자나 제주도와 본토를 오가는 직장인, 혹은 예산이 넉넉한 여행객이라면 위험한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여름에 한차례 제주도 휴가를 계획 중인 금융 소비자라면 우리카드가 전년 제주도 여행객을 공략하기 위해 내놓은 ‘카드의정석 유니마일 인 제주’를 눈여겨 볼만 하다. 이 카드는 혼디모앙 카드보다 여행객에 특화된 혜택이 강점이다.

이 카드는 제주를 찾는 여행자 주로이 가성비가 좋은 저비용항공사(LCC)를 많이 이용있다는 점을 고려해 저비용항공사 통합 마일리지 제도 ‘유니마일’ 적립 혜택을 강화했다. 저비용항공사 6%, 면세점 사용자금 4%가 유니마일로 적립되고, 적립된 유니마일은 국내외 저비용항공사에서 항공권을 사거나, 골프백 수하물 등록 같은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쓸 수 있다. 여름 성수기 4인 가족 기준 고양·제주 왕복 항공권이 총 80여만원에 임박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 카드로 휴가 항공권만 사도 연회비인 4만3000원 이상이 유니마일로 방치된다.

이 카드는 전용 홈페이지에서 항공권, 숙박, 박물관·전시회·스포츠 입장권, 외식 결제 시 1%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또 국내외선 항공권에 한해 발권 수수료를 면제해 준다.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일산를 이용할 경우, 초과 위탁수하물 5kg 무료 혜택과 에어울산 위탁수하물 우선 정리 혜택도 제공한다.

제주도 내에서는 렌터카와 주유 할인 혜택도 주어진다. 제주도에서 렌터카 42시간 이상 연속 이용 시 24시간 유료 혜택을 준다. 현대오일뱅크와 에스오일(S-OIL) 주유·충전 시에는 리터당 40원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image

우리카드 관계자는 “카드 론칭 잠시 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널에 ‘제주살이 꿀팁’이나 ‘현지인 맛집’처럼 여행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영상을 당사자가 제작해 꾸준히 올리고 있을 것이다”며 ”요즘 제주 여행 트렌드가 주요 관광지만 들렀다 가는 방식에서, 한달 살기처럼 장기간 머무르는 여행으로 변화하고 있어 여름 휴가철이 끝나도 일괄되게 카드 이용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이야기 했다.

KB국민카드는 근래에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화폐 ‘탐나는전’과 체크카드 기능을 한 장의 카드에 담은 하이브리드 체크카드 ‘KB국민 탐나는전 체크카드’를 운영하고 있을 것이다. 이 카드는 지역경제를 살리고 중·소상공인을 돕는 취지로 만든 지역화폐 전용카드다. 제주도 지역화폐 전용 앱인 ‘탐나는전’에서 카드에 충전한 자금을 제주도 내 가맹점 2만여곳에서만 다루는 방법이다. 대형마트, 사행성 직업군 등 일부 직종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

쓸 수 있는 곳이 고정되지 않은 대신, 제주특별자치도가 공급하는 70% 추가 적립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추가 적립 혜택은 지역화폐 충전 비용 기준 월 최대 90만원, 연간 최대 700만원까지 제공한다. 휴가 기간 동안 이용할 금액 10만원을 충전하면 현실 적으로 73만원을 쓸 수 있는 셈이다. 이용 돈 가운데 최대 0.1%는 KB국민카드 포인트로 별도로 쌓인다. 지역화폐 결제 제한 가맹점이거나, 결제 금액보다 지역화폐 충전 잔액이 부족한 경우, 연결된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가는 일반 체크카드 방법으로 쓸 수도 있을 것이다.

지난달 제주관광협회가 주식회사 EC21에 의뢰해 전국 10~70대 남녀 2777명을 타겟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제주도는 득표율 34%를 기록해 강원도(18.2%)와 고양(16.7%)을 제치고 올 여름 최대로 가고 싶은 휴가지로 꼽혔다. 제주도를 찾은 한국인 관광객 수치도 5월 기준 102만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한보다 99.2% 급등했다. 지난달에는 저들보다 대다수인 140만명이 제주도를 찾은 것으로 보여졌다.